에디토리얼

[EDITORIAL 07] “지역성 연구사례2”

CP_NET 2019. 12. 30. 22:56

[이슈: 지역성 연구사례]는 지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기획입니다. 예를 들어 지역문화정책에서 지역은 무엇일까요? 지역문화정책의 강력한 모티브를 분권이라 할 때, 이때 지역은 자원을 분배하는 효율적 단위로서의 시도군면동 행정구역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정작 문화가 배태되는 삶은 행정구역으로 구획되어 있지 않습니다. ‘지역이란 무엇인가는 곧 행정구역으로 포획되지 않는 삶의 장소로서의 지역을 어떻게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문화정책에서 자원의 고른 배분을 위한 전달체계로서의 지역이 아닌 삶의 장소로서의 지역을 어떻게 발견하고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이 질문의 답을 구하기 위해, 지금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기획, 문화활동을 사업성과가 아닌, ‘지역성 연구의 관점으로 읽어보고자 필자들께 부탁드렸습니다. 지난 호에 이어 세 필자가 현장의 활동을 바탕으로 지역성을 발견하는 과정을 세세하게 전합니다. 그 과정에서 부딪치는 여러 다양한 제도의 문제 또한 함께 생각해볼 거리를 던지고 있습니다.

 

원향미 삶을 이해하는 매체로서의 문화예술은 금정문화재단에서 실행한 지역 리서치 작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표조사, 실태조사 등의 조사방법론이 어떻게 문화예술적 접근을 통해 심화되는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서은덕 축제와 공간으로 읽다는 대전이라는 자신의 삶터에서 축제와 공간을 일구어 가면서 함께 살아가는 예술가들과 시민들을 만나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문화와 예술이 어떻게 지역성을 발견하는가를 살피게 됩니다. 박진희 인력, 공간, 프로그램, 네트워크, 플랫폼에서도 공간이 만들어지고 사람들이 만나고 함께 만들어가면서 지역에 대한 서로의 이해가 확장되고 공유되는가를 소개합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에서 겪고 있는 갈증과 쟁점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칼럼] 송하원 칸막이는 행정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는 행정부처와 사업의 경계가 고스란히 민간활동의 이 되어 있는 현실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역시 어떻게 사업의 범위가 아닌 삶의 터전으로서의 마을을 회복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데이터리뷰] 김민규 우리 삶에서 문화예술 향유 비중은 얼마나 될까?”는 문화향유실태조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문화생활의 비중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영역, 품목, 가중치를 통한 추론이 흥미롭습니다.

 

[기획연재_도시와문화정책] 일곱 번째 글은 염신규의 도시재생의 딜레마 3편입니다. 시민주도성, 정치와 문화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근대도시담론의 경제적 가치 지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문화도시가 어떠한 상상력에서 출발해야 하는가를 질문하는 필자의 큰 폭의 글쓰기입니다. [기획연재_인규세와문화정책] 세 번째 글 인류세는 누가 어떻게 정의하는가?”에서 이윤이는 인류세 개념을 두고 벌어지고 있는 경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제 2020년 새해입니다. 그저 하루 날이 저물고 다시 날이 밝았을 뿐이지만, 삶의 매듭을 묶고 다시 시작하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문화정책리뷰]도 작지만 단단한 걸음으로 새해를 열어보겠습니다. 새해 좋은 일 많이 이루시고 [문화정책리뷰]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장 김소연)

 

 

7호 목차 (20190101)

 

[이슈: 지역성연구사례2] 삶을 이해하는 매체로서의 문화예술_ 원향미

[이슈: 지역성연구사례2] 축제와 공간으로 읽다_ 서은덕

[이슈: 지역성연구사례2] 인력, 공간, 프로그램, 네트워크, 플랫폼_ 박진희

[칼럼] 칸막이는 행정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_ 송하원

[데이터 리뷰] 우리 삶에서 문화예술 향유 비중은 얼마나 될까?_ 김민규

[기획연재_ 도시와 문화정책]도시재생의 딜레마(3) - 경제에 포획된 도시, 도시정책, 문화도시_ 염신규

[기획연재_인류세와 문화정책] 인류세는 누가 어떻게 정의하는가?_ 이윤이